서 론
부르주아이자 보헤미안인 사람들을 보보스라고 합니다. 이들은 근대 미국에 새롭게 태어난 신흥엘리트 계층입니다. 이 글에서 이들의 가치관과 세계관을 이해함으로써 미국사회의 본질적인 변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제 목 : 보보스
저 자 : 데이비드 브룩스
출 판 사 : 데이원
[ 목 차 ]
1. 새로운 엘리트 계급을 이해하다.
2. 보보스 이후를 생각하다.
3. 결 론
1. 새로운 엘리트 계급을 이해하다.
데이비드 브룩스가 쓴 이 책은 "보보스"라 불리는 새로운 미국 엘리트 계층의 등장을 자세하게 묘사하고 있습니다. 보보스는 '부르주아'와 '보헤미안'의 합성어로, 전통적인 부르주아의 물질적 성공과 보헤미안의 창의성과 자기표현을 중시하는 가치를 혼합한 사람들을 지칭합니다.
문화적 혼합
브룩스는 보보스가 1960년대 반문화적 이상과 1980년대 기업 야망을 결합하여, 교육, 경력 성공, 그리고 럭셔리와 진정성을 동시에 중시하는 계층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합니다.
소비패턴의 변화
보보스는 전통적인 사치품보다 수공예, 친환경, 문화적으로 중요한 제품을 선호하여 그들의 지위와 높은 이상에 대한 헌신을 동시에 나타냅니다.
일과 여가의 융합
보보스는 수익성이 높으면서도 개인적으로 만족스러운 경력을 찾으며, 일과 여가의 경계를 흐립니다.
교육과 능력주의
교육은 보보스 문화의 핵심으로, 학문적 성취와 지적 능력이 지위 획득의 주요 수단입니다.
사회적 가치
보보스는 부유함에도 불구하고 평등, 환경 보호, 문화적 다양성을 옹호하는 진보적인 사회적 가치를 지닙니다.
위의 5가지 특성을 통해 보보스(부르주아이자 보혜미안인 사람들)의 등장과 사회적 현상을 절묘하게 설명해 주는 책입니다.
참고할 만한 추천도서 : "세계화의 종말과 새로운 시작" 바로가기
2. 보보스 이후를 생각하다.
보보스는 부르주아이자 보헤미안인 새로운 엘리트 계층들의 형성과 그들의 가치, 소비 패턴, 사회적 역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사회학, 사회 계층화, 부와 가치의 상호작용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줄 매우 유요한 도구입니다. 기존의 엘리트들이 가져왔던 가치관과는 다른 새로운 엘리트들의 가치관을 살펴보고 이해함으로써, 이 시대의 맹주이자 제국인 미국 엘리트들의 가치관과 사상을 조금이나마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었습니다. 미국의 본질적 가치관에 대한 이해는 지정학적 관점에서 미국의 의사결정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다가올 미국의 미래 의사결정 방향까지도 추측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보보스적인 미국 엘리트들의 성향과 가치관은 근래 미국의 제국적 역할을 자연스레 받아들이고 이끌어 왔습니다. 다만, 지금의 미국은 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통의 보보스적 사고와 가치관이 변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양한 이유가 있겠지만, 현시점의 미국은 보보스들이 보인 진보적인 가치관에서 좀 더 고립되고 클래식한 결정을 받아들이는 사회로 바뀌는 것 같습니다. 그러기에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이러한 미국의 변화를 잘 관찰하고 준비함으로써 새로운 대향의 시대를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할 것입니다.
3. 결 론
데이비드 브룩스의 "보보스"는 중요한 사회문화적 현상을 자세히 탐구한 책으로, 새로운 엘리트 계층의 형성과 그들의 가치, 소비 패턴, 사회적 역학을 이해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책은 사회학, 사회 계층화, 부와 가치의 상호작용에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여전히 중요한 참고 자료입니다.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보보스 이후의 미국 사회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해함으로써 지정학의 큰 틀이 꿈틀대고 있는 현시대를 제대로 대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자산유동화증권(ABS)의 의의와 구조에 대해 알아보자.
'책에 돈이 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업의 철학을 읽다_마이클 거버 (0) | 2024.07.31 |
---|---|
비열한 시장과 도마뱀의 뇌를 읽고 진짜사람이 되다. (0) | 2024.06.30 |
경제지표를 읽는 시간_경제흐름을 타다 (1) | 2024.04.30 |
포모사피엔스를 읽고 투자마인드를 셋팅하다. (0) | 2024.04.17 |
고객의 95%는 자기 의지로 물건을 사지 않는다. (0) | 2024.03.27 |